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
국가상징 알아보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.

울산광역시 남구

미래와 희망의 행복남구

홈분야별정보 > 재난ㆍ안전ㆍ민방위 > 안전길라잡이 > 자연재난시 행동요령
분야별정보 > 재난ㆍ안전ㆍ민방위 > 안전길라잡이

분야별정보

자연재난시 행동요령
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트위터 공유하기
  • 카카오톡 공유 보내기 버튼
  • 인쇄하기

호우시 행동요령

호우에 대비합시다.

호우가 예상되나요?
  • 주택의 하수구와 집주변의 배수구를 점검합시다.
  • 침수나 산사태 위험지역 주민은 대피장소와 비상연락방법을 미리 알아둡시다.
  • 하천에 주차된 자동차는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시다.
  • 응급약품, 손전등, 식수, 비상식량 등은 미리 준비해둡시다.
  •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.
  • 대형공사장, 비탈면 등의 관리인은 안전 상태를 미리 확인합시다.
  • 가로등이나 신호등 및 고압전선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.
  •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.
  • 공사장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.
  • 운행 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줄여주세요.
  • 천둥ㆍ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지역으로 대피합시다.
  • 물에 떠내려갈 수 있는 물건은 안전한 장소로 옮깁니다.
  •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경우 119나 시ㆍ군ㆍ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.
  • 건물의 출입문이나 창문을 닫아둡시다.
  •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밖으로 나가지 맙시다.
  • 물에 잠긴 도로로 지나가지 맙시다.
  • 대피할 경우 수도와 가스밸브를 잠그고, 전기차단기를 내려둡시다.
  • 라디오, TV,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호우상황
호우가 지나갔나요?
  • 파손된 상하수도나 축대ㆍ도로가 있을 경우 시ㆍ군ㆍ구청이나 읍ㆍ면ㆍ동사무소에 연락합시다.
  • 물에 잠긴 집안은 가스가 차 있을 수 있으니 환기시킨 후 들어가고 전기, 가스, 수도관시설은 손대지 말고 전문 업체에 의뢰합시다.

호우주의보 및 경보 시에는

도시지역에 살고 계신다면?
  •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.
  • 대형공사장, 비탈면 등의 관리인은 안전 상태를 미리 확인합시다.
  • 가로등이나 신호등 및 고압전선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.
  •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.
  • 공사장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.
  • 도로에 있는 차량은 속도를 줄여서 운전합시다.
  • 천둥ㆍ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지역으로 대피합시다.
  • 물에 떠내려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안전한 장소로 옮깁니다.
  •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경우 119나 시ㆍ군ㆍ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.
  • 건물의 출입문이나 창문을 닫아둡시다.
  • 아파트 및 고층건물 옥상이나 지하실 및 하수도 맨홀에 가까이 가지 맙시다.
  •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마시고, 지하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합시다.
  •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밖으로 나가지 맙시다.
  • 라디오, TV,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호우상황을 잘 알아둡시다.
농촌지역에 살고 계신다면?
  •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.
  • 집주변의 산사태 위험이 있는지 살피고 대피 준비를 합시다.
  • 고압전선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.
  •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.
  • 천둥·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지역으로 대피합시다.
  • 물에 떠내려갈 수 있는 물건을 안전한 곳으로 옮깁시다.
  •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하천의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하여 농경지의 침수를 예방합시다.
  • 논둑을 미리 점검하시고 물꼬를 조정합시다.
  • 다리는 안전한지 확인 후에 이용합시다.
  • 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는 비탈면에 접근하지 맙시다.
  •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경우 119나 시ㆍ군ㆍ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.
  •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.
  • 라디오, TV,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호우상황을 잘 알아둡시다.
  • 집주변이나 농경지의 용배수로를 미리 점검합시다.
  • 산간계곡의 야영객은 미리 대피합시다.
  • 이웃이나 가족 간의 연락방법 및 비상시 대피방법을 확인합시다.
  • 농기계나 가축 등을 안전한 장소로 옮깁시다.
  • 비닐하우스, 인삼재배시설 등을 단단히 묶어 둡시다.
해안지역에 살고 계신다면?
  •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.
  • 해안가의 위험한 비탈면에 접근하지 맙시다.
  •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마시고, 지하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합시다.
  • 가로등 및 고압전선 근처에 가까이 가지 맙시다.
  •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맙시다.
  • 공사장 근처에 가까이 가지 맙시다.
  • 해안도로로 운전하지 맙시다.
  • 천둥·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지역으로 대피합시다.
  • 육지의 물이 바다로 빠져나가는 곳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.
  •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경우 119나 시ㆍ군ㆍ구청 또는 한전에 연락합시다.
  • 출입문, 창문 등을 잠급시다.
  • 다리는 안전한지 확인한 후에 이용합시다.
  •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.
  • 라디오, TV 등에 의한 기상예보 및 호우상황을 잘 알아둡시다.
  • 바닷가의 저지대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.
  • 물에 떠내려갈 수 있는 어망ㆍ어구 등을 안전한 곳으로 옮깁시다.
  • 해수욕장 이용은 하지 맙시다.
산악지역에 살고 계신다면?
  • 산사태 발생지역의 주민은 대피 준비를 합시다.
  • 재배시설 등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조치를 합시다.
  • 기상정보 및 강우상황을 주의 깊게 들읍시다.

이럴 때 대피합시다.

일반적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것을 말하며, 3시간 60mm 또는 12시간 110mm 이상이 예상될 경우 호우 주의보를 3시간 90mm 또는 12시간 180mm 이상이 예상될 경우에는 호우 경보를 발령합니다.

  • 담당부서 : 안전총괄과
  • 전화번호 : 052-226-3504
  • 최근 업데이트:2023-04-25
TOP
현재페이지 콘텐츠 만족도 조사

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.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?